본문 바로가기

2D를 디자인 하다./포토샵 속으로

포토샵 Blend If 합성 작업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 이론과 활용 방법

안녕하세요
호호 디자인입니다.
포토샵의 Blend If를 활용하면 이미지 합성보다 쉽게 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Blend If 기본적인 개념부터 활용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이해 하기가 어려울 수 있지만 따라서 몇 번 해보면 금방 이해가 가는 기능입니다.
끝까지 보시고 테스트 꼭 해보세요


Blend If

기본 개념 

이해하기


 

 

Blend If 이해를 돕기 위해

이미지와 Gradient를 적용한 레이어 하나가 있습니다.

 

 

 

[Blend If]를 실행하기 위해 선택한 레이어를 더블 클릭을 하면 [Layer Style] 창이 화면에 보이게 됩니다.

Layer Style 우측 하단에 보면 Blend If 기능을 볼 수 있어요

 

 

 

[This Layer] 현재 레이어 (선택한 레이어)

[Underlying Layer] 현재 레이어 아래에 있는 모든 레이어를 Blend If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입니다.

 

 

Blend If가 어떻게 동작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Blend If를 보면 This Layer와 Underlying Layer 각각의 슬라이드는 동일한 모양입니다.

 

왼쪽은 검정 오른쪽은 흰색으로 되어 있어요

왼쪽 0은 검은색(어두운 부분) 오른쪽 255는 흰색(밝은 부분)을 의미합니다.

 

This Layer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검은색0에 있는 바를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현재 선택된 레이어의 어두운 영역이 점차 안 보이게 됩니다.

 

즉 바가 이동하는 만큼 This Layer는 가려지게 됩니다.

 

 

 

 

좀 더 쉽게 알아볼게요

검은색 0을 시작해서 58까지 이동을 했습니다.

실제 가려진 부분 경계에서 스포이드로 컬러를 Pick 해보면 RGB가 58인걸 확인할 수 있어요

 

즉 0 ~ 58까진 가려져 안보이고 59 ~ 255까지는 보여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바를 오른쪽으로 더 이동을 해볼게요

187까지 이동을 하니 중간톤을 넘어선 영역까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됩니다.

0 ~ 187 까지는 가려지는 부분

188 ~ 255 까지는 보여지는 부분이 됩니다.

 

This Layer는 가려질 부분의 영역을 슬라이드 바를 이동을 해주시고

가려진 부분의 영역에는 현재 레이어 아래에 있는 이미지들이 화면상에 보이게 됩니다.

 

 

이번에는 밝은 영역의 슬라이브 바를 움직여보겠습니다.

밝은 영역의 바를 왼쪽으로 이동을 해주세요

이미지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밝은 영역이 가려져 아래에 있는 Under Layer가 화면에 보여지게 됩니다.

192 ~ 255까지의 밝은 영역이 해당 레이어에서 가려지고 가려진 영역은 현재 레이어 아래에 있는 이미지들이 보이게 됩니다.

 

 

이번에는 자연스럽게 합성을 하기 위해서 페이더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슬라이드 삼각바를 [ALT + 클릭]을 하면 바가 분할이 됩니다.

분할된 삼각바를 이동해서 페이더 구간을 잡아주면 자연스럽게 그라데이션 되면서 이미지가 합성이 됩니다.

 

0 ~ 81 완전히가려지는 구간

81 ~ 177 페이더 되면서 가려지는 구간

 

 

이번에는 Underlying Layer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Underlying Layer는 This Layer와 정 반개 개념입니다.

 

This Layer 영역은 가리어지는 구간이라면

Underlying Layer는 보여지는 구간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Underlying Layer 어두운 영역의 슬라이드 바를 왼쪽으로 이동을 하면

아래의 이미지에서 어두운 영역의 이미지만 보이게 됩니다.

 

즉 비행기가 있는 이미지에서

0 ~ 68까지의 어두움을 가지고 있는 영역만 화면에 표현이 됩니다.

 

 

반대로 밝은 영역도 위의 어두운 영역과 마찬가지로 설정된 구간 이미지가 화면상에 보이게 됩니다.

 

 

 

이번에는 흑백이 아닌 컬러로 적용을 해볼게요

컬러도 흑백과 마찬가지 동일한 원리입니다.

컬러는 어떻게 Blend If가 적용이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Blend If를 실행하고

채널을 Red로 바꾸어 주었습니다.

 

컬러의 영역은

보색 --------> 채널에서 선택한 컬러가 됩니다.

오른쪽 바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Red 색상 컬러가 가려지게 되고

왼쪽으로 바가 가까울수록 Red의 보색인 Cyan 컬러가 가려지게 됩니다.

 

 

반대로 왼쪽 슬라이드 바를 오른쪽으로 이동을 해보면 Red 보색인 Cyan 컬러톤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됩니다.

 

 

실제로는 어떻게 Blend If가 사용이 될까요?

파벽 이미지와 Blend If 문구 레이어가 있습니다.

 

텍스트 레이어에 파벽 이미지와 자연스럽게 합성을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먼저 Blend If를 실행을 합니다.

Underlying Layer를 조절해서 합성을 해주었어요

1번 영역은 0 ~ 62 구간은 보여지는 어두운 영역

2번 영역은 62 ~ 124 구간은 어두운 영역과 중간 영역이 섞여서 자연스럽게 표현되는 페이더 구간

3번 영역은 124 ~ 208 구간은 중간 영역과 밝은 영역이 섞여서 자연스럽게 표현 되는 페이더 구간

4번 영역은 208 ~ 255 구간은 보여지는 밝은 영역

 

Blend If는 합성을 할 때 자주 사용을 합니다.

꼭 따라서 해보면서 Blend If가 어떤 원리인지 다시 한번 정리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

사용하길 바랍니다.

 


익스테리어 건축 CG 실무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 익스테리어(건축)CG 회사 실무진들이 기초부터 차근차근 진행합니다.

실무 위주로 기초부터 응용할 수 있는 수업을 원하면 

 

블로그 메인 상단에 3D MAX 과외 및 튜토리얼을 클릭해서 모집 요강

참고하시고 카카오톡으로 문의 주시면 친절히 상담 해드리겠습니다.

 



글 속에 숨은 TIP과 작은 행복을 찾으셨나요?

호호디자인은 좋아요구독하기로 먹고삽니다.


 

728x90